독서BOX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

어느새그곳 2016. 7. 5. 06:46
반응형
SMALL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 - 10점
주디스 화이트 지음, 이나경 옮김/현대문학                

캐서린 맨스필드 문학상 수상작가, 주디스 화이트 장편소설 
결혼, 의존, 집착, 중독, 사랑, 그리고 오리에 대한 
따스하고 유머러스하며 예리한 통찰을 담은 시적 우화 

뉴질랜드 작가 주디스 화이트의 신작 장편소설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그동안 현대문학에서는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작품들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조화로운 삶에 관해 조망해왔다.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조디 피코의 『코끼리의 무덤은 없다』를 필두로, 미국 작품 최초로 맨부커상 최종 후보작으로 선정된 캐런 조이 파울러의 『우리는 누구나 정말로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다』가 출간되었으며, 그 뒤를 이은 세 번째 작품이 바로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이다. 

이번 작품을 통해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주디스 화이트는 첫 단편집 『방문 유령』으로 BNZ 캐서린 맨스필드 문학상을 수상하고, 뉴질랜드의 전통 있는 일간지인 <오클랜드 스타> 단편소설 대회에서 1987년과 1990년 2회에 걸쳐 우승하는 등 다수의 문학상을 받은 작가다. 지금까지 한 권의 단편집과 두 권의 장편소설이 출간되었다는 점을 보면 알 수 있다시피 문단 경력에 비해 작품 수가 많지는 않지만, 불안한 내면과 일탈 심리를 묘사하는 데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극찬과 함께, 명징한 언어와 시적 감수성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은 첫 장편소설 『꿈꾸는 밤을 가로질러』(1999) 이후 14년 만의 긴 공백을 깨고 선보이는 야심작이다. 어머니를 여의고 실의에 빠진 50대 중년 여성 해나가 새끼 오리를 돌보게 되면서 겪는 내면의 고민과 갈등, 그리고 치유의 과정을 그린 이 소설은 출간 직후 “이례적일 만큼 뛰어난 작품!”(라디오 뉴질랜드), “파울로 코엘료와 뮈리엘 바르베리를 떠올리게 하는 시적이고 지혜로운 우화”(〈위켄드 헤럴드〉)라는 찬사를 받았다. 화이트는 한 인터뷰에서 실제로 파킨슨병을 앓던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머스커비 오리를 돌보며 슬픔을 이겨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자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소설은 어머니의 죽음을 맞은 중년 여성의 심리를 실감 나게 묘사하고,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삶을 돌아보고 가족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렸다.

무엇보다도 가장 돋보이는 점은 화이트 특유의 간결하고 시적인 언어다. 삶과 죽음, 결혼과 사랑, 의존과 집착 등으로 요약되는 다소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해나와 오리가 주고받는 유머러스하고도 의미심장한 대화는 소설에 활력을 부여한다. 또한 위트 있는 제목이 붙은 각각의 에피소드는 상실과 고통에 대처하는 법, 그리고 인생을 살아가는 법에 관한 지혜와 통찰이 응축되어 있어 한 편의 시 또는 우화처럼 읽힌다. 더불어 머스커비 오리의 습성 및 양육법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진 오클랜드의 아름다운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도 이 소설만이 선사하는 특별한 즐거움이다.

상세 내용

“모두가 의미 있는 상대에게 의존해요.
나는 당신에게 아무 의미도 없나요?”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를 통해 전하는 
진정한 소통과 사랑의 의미

이 소설은 오리의 언어만큼이나 난해한 인간의 언어, 즉 소통의 어려움에 관해 탐색하고, 사소한 오해가 얼마나 우리의 삶을 비참하게 뒤흔들 수 있는지에 관해 이야기한다. 해나와 남편 사이먼, 여동생 매기와 제부 토비는 서로에 대한 오해와 불신으로 이별의 기로에 선다. 또 이들은 2011년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지 대지진이라는 큰 사건을 겪기도 하는데, 그와 동시에 그동안 쌓아온 애정과 신뢰 또한 붕괴되어 가고 있다는 위기감을 느낀다. 모두가 절망하고 혼란스러워하던 그때, 해나는 이들과의 소통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오리와의 대화를 통해 진정한 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참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언어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또 하나 이 소설에서 소통만큼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바로 사랑이다. 화이트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대상 사이에 형성되는 화학 반응과 애착 관계 및 이에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애정 중독 상태를 통해 사랑의 속성을 심도 깊게 고찰한다. 해나와 사이먼, 해나와 어머니, 해나와 오리, 이웃집 남자 에릭과 첼로, 토비와 알코올 등 이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다양한 모습은 아름답다기보다는 불안정하고 뒤틀린 모양새에 가깝지만, 그렇기에 우리 모두의 생은 다른 곳이 아닌, 바로 여기에 있음을 알게 하는 연민과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오리의 신비로운 언어학 이론』은 관계 중독에 시달리면서도 역설적으로 소통 부재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황폐한 내면을 신랄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타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자신과의 화해에 이르는 여정을 따뜻하고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언젠가는 삶을 다시 평가해야만 하는 때가 오는 거야. 나쁜 일이 아닐지도 모르지.”라는 사이먼의 말처럼, 독자들은 이 소설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