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 | 종말론 사무소 - ![]() 김항 지음/문학과지성사 |
인간을 벌거벗은 생명으로 간주하는 ‘통치’만이 남은 시대,
다시 정치적인 것의 가능성을 생각하다!
『말하는 입과 먹는 입』『제국일본의 사상』의 저자이자, 조르조 아감벤의 『예외상태』, 카를 슈미트의 『정치신학』 등 다양한 책들을 번역.소개해온 연세대 국학연구원 김항 교수의 신작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조르조 아감벤, 발터 벤야민, 미셸 푸코, 카를 슈미트, 위르겐 하버마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에 응답하거나 대립했던 위대한 사상가들 간의 논쟁을 교차시키며 분석한다. 그를 통해 근대 통치질서의 실체를 밝히고, 인간의 삶을 ‘벌거벗은 생명’으로 치환하여 통치의 대상으로 삼는 ‘오이코노미아-생명정치’의 패러다임에 맞서 인간이 스스로를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행위인 ‘정치’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김항은 이러한 ‘정치’에 대한 사유를 가능하게 할 장소로서, 아감벤이 『왕국과 영광』에서 “벤야민이 주저 없이 재개하려 했”다고 말한 ‘종말론 사무소eschatological bereau’에 주목한다. 종말론 사무소란 과연 무엇이며 어떤 일을 처리하는 곳인가? 그곳이 말 그대로 이 세계를 끝장내는 종말이란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라면, 우리는 이러한 종말을 반겨야 할까 막아야 할까? 김항이 지금 여기서, 오래전 벤야민이 재개했던 종말론 사무소를 긴급히 작동시키려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몰락을 추구하는 일이 세계 정치의 과제”가 되었다_발터 벤야민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사유가 탄생한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아야 한다. 초기 기독교와 교회는 왜 세계가 ‘창조’되어 ‘유지’되면서도 ‘파멸’되어 ‘구원’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사악한 ‘창조의 신’과 그의 세계를 파멸로 이끄는 ‘구원의 신’을 대치시켜 현세를 부정하고 구세주의 새로운 세기를 갈망하게끔 한 그노시스의 사상에 맞서기에, 교회의 논리는 빈약했다. 따라서 교회는 창조신과 구세주가 동일 존재의 서로 다른 두 위격임을 설파하는 삼위일체설과 같은 다양한 논리를 구축하여 신의 지상 통치를 이론화하고 정당화해나갔다. 그에 따라 지상의 삶은 구원을 기다리는 무의미한 시간이 아니라, 그 자체로 신의 계획이 실행되고 있는 유의미한 시간으로 탈바꿈되고, 그러면서 종말과 구원의 ‘구체적’ 형상은 기독교 교리에서 말소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근대에 접어들면서 낡은 신학과 형이상학이 과거의 유물로 치부되자, 종말의 임박이나 구원자의 임재 같은 상상력은 더욱더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그런데 상황이 일변한다. 제1차 세계대전을 통해 역사의 진보에 대한 믿음이 산산조각 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전쟁이 초래한 파국 속에서 모종의 종말을 감지하지 않는 이는 없었다.” 슈미트는 종말에 즈음하여 가짜 구원을 설파하는 ‘적그리스도(마르크스주의, 진보를 약속하는 과학기술과 자본주의 등)’를 억제하는 자인 카테콘에 의존해서 이 종말을 사유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카테콘의 자리를 넓은 의미에서의 ‘법학’에 마련한다. 이는 기독교의 종말론 신앙을 충실히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현존하는 국가와 교회의 통치와 존재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며, 종말과 구원을 통해 끝이 나야 할 오이코노미아(아감벤은 근대 정치의 주요 범주들이 신학이 세속화된 것이 아니라, 신학 자체가 출발부터 인간을 관리하고 질서 정연하게 배치하는 오이코노미아 패러다임에 기반한 사유체계라는 것을 논증했다)는 영원히 지속된다.
반응형
LIST
'독서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터 스트레인지 : 서약 (0) | 2016.11.05 |
---|---|
선택의 순간들 - 2002년 노무현 대선승리의 기록 (0) | 2016.11.04 |
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0) | 2016.11.03 |
그까짓 사람, 그래도 사람 - 숨기고 싶지만 공감받고 싶은 상처투성이 마음 일기 (0) | 2016.11.02 |
매일 15분 나만의 그림 한 끼 - 하루 한 컷이 주는 치유와 창조의 시간 (0) | 2016.11.01 |
댓글